최초로 백지계획이 외부에 노출된 것은 1975년 8월 2일이었다.
박정희 대통령은 하계 휴양지였던 경남 진해에서 청와대 출입기자들어게 "수도권 인구 분산정책의 획기적인 방안은 수도를 욺기는 것밖에 없다"며 수도 이전에 관한 구상을 털어놓았다.
그러나 사회에 혼란을 야기할 만한 정보인 만큼 대외비로 처리되었다.
이듬해 6월, 행정도시 건설계획의 총지휘를 맡은 김종필 총리는 서울에서 자동차로 2시간 거리(가급적 금강변)에 인구 50만 명 규모의 입지를 선정하고 수도권 대학과 산업단지 분산에 관한 방안을 마련했다.
그리고 1977년 2월, 박정희 대틍령은 서울시 연두순시 자리에서 '통일이 될 때까지'라는 단서를 붙여 행정수도 이전 계획을 공식 선언했다.
곧 임시행정수도건설을 위한 특별조치법이 제정 공포되었고, 철저한 보안 속에서 전문 설계팀이 가동되었다.
임시 행정수도는 청와대 오원철 중화학공업기획단장(경제2수석) 책임하에 무임소 장관실의 박봉환 실장(부단장)이 주관하는 작업팀을 구성하고(도시계획, 조경, 행정분야), 설계 권위자들로 자문단도 구성하였다.
1978년 초에는 지속적 연구를 위해 KIST 내에 지역개발연구소를 부설하고 국내외의 전문가를 초빙하여 연구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1979년 1월 당시 KIST 교통경제연구실에서 지역개발연구소로 전보되어 교통연구팀에 참여했던 임승달 교수(신행정수도건설추진위원회 위원)의 증언에 따르면, 당시 지역개발연구소 소장으로 건설부 관료 출신인 황용주 박사(버클리대학 도시계획 박사)를 청와대가 직접 임명했고 강홍빈 박사(MIT, 도시설계), 황기원 박사(하바드대 조경학), 이인원 박사(일리노이대 교통학 박사),) 김창호 박사(일리노이대 교수, 교통) 등을 영입하였다.
또한 국내 유수의 전문가들(임창복, 안건혁, 강위훈, 윤길선, 염형민 등)과 역량 있는 연구원(노정현, 유재영, 조중래, 이용재, 이한준, 김수철 등)을 채용하여 도시계획 및 교통분야의 최고 연구진을 갖춘 상태였다.
백지계획에 따르면 행정수도의 입지는 조치원과 공주 사이의 구릉지대 반경 10킬로미터의 장기지구로 선정되었으며, 1980~1996년까지 총사업비 5조 2,900억 원(77년 불변가격 기준)으로 자족도시를 건설하도록 설계되었다.
3년 동안 국내외 전문가 391명이 힘을 합쳐 만든 이 설계안을 박정희 대통령은 곧 재가했다.
그러나 국무총리 결재와 국무회의 의결을 앞두고 10•26 사건과 12•12 신군부 군사쿠데타가 터지면서 백지계획은 완전히 무산되고 말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