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시는 '신행정수도'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로 축소.건설되는 우여곡절을 겪으면서도 '국토균형발전'의 상징도시로 발돋움 했다. 새정부 들어서는 '행정수도 완성'의 꿈을 키우며 날로 발전하고 있다. 하늘에서 본 세종시 전경
세종시가 행정중심복합도시 착공 10주년과 세종특별자치시 출범 5주년을 맞았다.
그동안 세종시는 '우여곡절'(迂餘曲折)과 ‘상전벽해’(桑田碧海·뽕나무 밭이 푸른 바다로 변한다는 뜻으로, 세상이 몰라볼 정도로 변함을 비유한 말) 그 자체였다.
2007년 당시 논·밭과 구릉지뿐이었던 허허벌판에 정부청사 등 공공청사가 들어섰고 대규모 아파트단지가 세워졌다.
‘신행정수도’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로 축소 건설되는 우여곡절을 겪으면서도 ‘국토균형발전’의 상징도시로 발돋움했다.
더욱이 새 정부 들어서는 ‘행정수도 완성’의 꿈을 다시 키우고 있다.
행정중심북합도시건설 10년과 세종특별자치시 출범 5주년을 맞아 그동안의 변화상과 미래상 등을 살펴본다.
● 우여곡절(迂餘曲折) 속 세종특별자치시의 길 ‘멀고 험 난’
세종시는 2002년 노무현 전 대통령의 대선공약으로 첫 출발을 알렸다.
2004년 8월 11일 연기군과 공주시 지역 일대가 신행정수도 입지로 최종 확정됐다.
하지만 2004년 10월 헌법재판소의 ‘신행정수도 건설을 위한 특별조치법’ 위헌 결정으로 청와대와 중앙행정기관 등이 이전하는 행정수도 계획이 전면 수정되면서 ‘행정중심복합도시’라는 반쪽짜리 도시로 축소됐다.
행복도시 사업은 ‘신행정수도 후속대책을 위한 연기·공주지역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을 위한 특별법’에 근거를 둔다.
12부 4처 2청 49개 행정기관을 이전하는 것을 골자로 한 법안은 2005년 3월 국회를 통과했다.
이 법을 토대로 정부는 2006년 1월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을 출범시킨데 이어 7월에는 ‘분산형·자연친화·인간중심 대중교통체계’등을 골자로 하는 건설 기본계획을, 11월에는 개발계획을 잇달아 확정했다.
같은 해 12월 행정도시 명칭을 현재의 세종시로 결정했고, 2007년 7월 20일 대망의 첫 삽을 떴다. 10년의 시작이었다.
정부 주도로 중앙행정기관 이전을 추진하던 행복도시 건설사업은 2010년 이명박 정부가 교육과학중심 기업도시로 도시 성격을 바꾸는 수정안 발표해 또 다른 암초를 만났다.
삼보일배(三步一拜)나 거리서명에 더해 삭발과 단식 투쟁 등 성난 민심이 들불처럼 일어났다.
충청 출신이라며 기대를 모았던 정운찬 총리에게 달걀을 던지기도 했다.
국회 심의과정에서 팽팽한 대립을 거쳤던 이 수정안은 2010년 6월 29일 최종 부결되면서 원안대로 재추진됐다.
수돗물 통수식, 첫 마을 아파트 주민 입주, 진입도로 개통, 대전 연결도로 확장 등 이후 일정은 순풍에 돛을 단 듯 진행됐다.
2012년 7월 1일 세종특별자치시가 정부 직할 17번째 광역자치단체로 출범했다.
광역과 기초를 포함한 단층제 광역자치단체라는 독특한 특성을 지녔다.
전체 464.90㎢ 면적의 세종시는 연기군 전체와 공주시(장기면), 충북 청원군(부강면) 일부를 흡수했다.
중앙행정기관 이전도 계획에 맞춰 진행했다. 2012년 국무총리 비서실과 국무조정실, 조세심판원을 시작으로 세종청사 완공에 맞춰 2014년까지 36개 부처·기관이 차례로 이사했다.
2016년에는 국민안전처와 인사혁신처도 옮겨와 총 40개 행정기관이 이전을 마쳤다.
지난해 말 기준 세종시 입주 공무원 수는 1만4699명에 달한다.
한국개발연구원, 한국법제연구원, 국토연구원 등 15개 정부출연기관 3545명 연구원도 세종시에 정착했다.
국립세종도서관, 대통령기록관, 세종컨벤션센터 등도 차례로 자리했다.
2030년까지 총 20만가구가 계획된 공동주택은 2010년 첫마을 1500여가구 분양을 시작으로 매년 1만가구 이상 공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