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은 남한 국토의 중심지로서 전국에서 접근이 용이하고 영남, 호남의 지역주의가 팽배한 현실에서 비교적 중립적이다.
또한 박정희 대통령 시절의 행정수도 입지 선정기준에도 충청권이 가장 적합한 지역이었다.
당시 주요 입지기준은 서울에서 두 시간 거리에, 경부선이 인접하고, 수원확보가 손쉽고, 30분~1시간 안에 중심도시로 이동 가능하고, 우량농지가 적고, 배수가 좋은 구릉지역이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입지 조건에 적합한 지역으로 공주 장기지구, 논산지구, 천안지구로 압축되었었고, 최종적으로 공주 장기지구가 결정되어 백지계획을 수립하였다.
2002년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도 충청권에 자족기능을 갖춘 신행정수도를 건설하는 안을 마련했다.
그리고 행정수도 건설을 본격 추진하면서 행정수도 충청권 입지의 타당성을 객관적으로 입증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2003년 10월 21일에는 이와 관련한 공개 세미나가 있었는데, 여기에서 주성제 교수(경희대)는 충청권이 신행정수도 입지의 통상적 기준인 통합성 및 상징성, 중심성, 환경성 및 안전성, 국가균형발전 등 5개 지표 중에서 가장 우수함을 논증하였다.
특히 충청권은 국토의 면적 중심점(충북 옥천군 청성면), 인구 중심점(충북 청원군 가덕면), 신산업 중심점(충북 청원군 남일면)이 모두 위치하는 중심지로 접근성이 우수하여 행정수도의 최적지로 밝혀졌다.
충청권에 행정수도건설이 구체화되자 그동안 잠잠하던 일부 중앙일간지들(조선일보, 동아일보 등)이 일제히 신행정수도건설의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제기하기 시작했다.
특히 2003년 11월 초 들어서면서부터 신행정수도 이전 반대론자의 기고와 중앙지의 반대논설이 본격화 되었다.
<신행정수도건설추진백서>(신행정수도건설추진기혁단. 2004. p. 299)에 따르면 2003년 11월 초부터 연말까지 중앙언론에 실린 신행정수도 반대기고 및 사설은 총 32건으로, 찬성론자 기고 8건에 비해 월등하였다.
그리고 서울 및 수도권 시민, 전문가 국민이 양분되에 찬성과 반대의 의견들이 쏟아지기 시작했다.
사업 초기의 주요 반대논리는 첫째 신행정수도 건설비용 문제였다.
이는 일반 국민에게 가장 쉽게 어필할 수 있는 반대 논리로, 실제 행정수도 건설비용(46조원) 중 정부 재정부담은 일부(11조원)인데 마치 전체 비용을 국민세금으로 충당하는양 "그런 돈으로지방대학 육성하거나 지자체에 나눠주면 또는 다른 성장산업 육성에 활용하면 훨씬 더 큰 지역균형발전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강변하였다.
둘째는 신행정수도건설은 '갑자기 나온 정략적 대선 득표전략'이라는 주장이었다.
비록 행정수도 이전에 명분이 있다 해도 실현 가능성이 없는 공약이었다는 것이다.
셋째는 신행정수도건설의 절차적 문제로, 대선과정에서 신행정수도건설을 공약하여 당선되었다고 해도 이는 많은 공약 중 하나로서 국민적 합의가 되었다고 볼 수 없고 행정수도건설은 천도에 해당되므로 국민투표를 실시해야 된다는 주장이었다.
넷째는 행정수도의 충청권 건설은 결국 충청권의 수도권화를 불러와 다른 지역과의 격차를 심화시킬 뿐이며, 충청지멱 내에서도 행정수도로 인구가 유입되는 블랙홀 현상이 발생할테니 실질적인 지역균형발전에는 큰 효과가 없다는 주장이었다.
다섯째는 남북통일을 고려할 때 행정수도 이전은 바람직하지 않고, 국력 낭비라는 주장이었다.
이러한 여러 반대논리는 앞으로 있을 신행정수도건설의 멀고도 험난한 길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하지만 어차피 가야할 길이라면 부딪혀 나가야 했다.
이 여정은 더 이상 지체하거나 미룰 수 없는 국가적 선택이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