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청행사에는 노무현 대통령을 비롯해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 추진위원과 자문위원, 충청지역 국회의원,, 정부부처 및 지자체 관계자, 학계 및 언론계 인사와 현지 주민들 700여 명이 참석해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다짐했다.
개청 기념행사는 행정중심복합도시가 완성되는 모습을 표현한 동영상 '행복도시 비전 2030'의 상영과 함께 축하공연, 노무현 대통령 기념사, 개청 기념행사 순으로 진행됐다.
그동안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추진단, 건설교통부,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나누어 수행하던 업무의 대부분을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에서 전담하게 되어, 행정도시 사업의 효율성과 추진역량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했다.
하지만 이에 반대하는 주민들은 여전히 각 지역에서 크고 작은 집회를 벌이고 있었다.
2006년 2월 15일, 연기군 남면 종촌리 시장에서는 행정도시원천반대주민대책위원회(위원장 임만수)와 행정도시반대비상대책위원회(위원장 한종률)의 주도로 예정지역 주민 6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행정도시원천반대와 주민생존권 사수집회를 열었다.
찬성과 반대의 목소리 모두 귀 기울일 수밖에 없는 충청도의 민심이었다.
그러나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을 위해 반대의 민심을 설득해야 하는 큰 과제가 남았다.
정부가 2,200만 평의 예정지역과 6,800만 평을 행정도시건설지역으로 고시한 이후 충청남도는 행정도시가 적정 규모로 형성될 때까지 충청남도 산하로 두자는 주장을 제기했다.
그러나 연기군은 48퍼센트에 달하는 잔여지역을 특목시로 하자는 자구책을 내놓았다.
이에 대해 정부가 대책을 내놓지 못하자, 주민들 사이에서는 1,300년의 역사를 지닌 연기군이 공중분해 될지도 모른다는 위기감이 싹트기 시작했다.
2007년 1월 25일, 각계 인사와 130여 개 시민사회단체 대표들이 모인 가운데 행정도시통합추진등 범군민대책위원회가 결성되었다.
곧이어 연기군지키기 결의대회를 개최하여 행정도시건설에 따르는 연기군의 현안들을 지적하고, 잔여지역 전체를 행정도시에 편입시켜 연기군민 모두 행정도시의 시민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처럼 갈등의 목소리는 쉽게 사라질 기미가 보이질 않았다.